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바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안드로이드원클릭
- Toast
- boolean getBooleanExtra()
- 카카오로그인API
- Android 클릭이벤트
- Kong돌이
- android studio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안드로이드액티비티간데이터통신
- 이클립스
- 개발자
- 오류해결
- Android Studio Parcelable
- 해시키 추출
- 안드로이드
- 액티비티간 데이터전달
- 안드로이드 싱글
- Parcelable 인터페이스
- 클릭중복방지
- Android 클릭추상화
- 태스크정리
- 로그인API연동
- 네이티브 키
- Android
- 인터넷권한
- 프로세스와 태스크
- 카카오 로그인 구현하기
- 권한추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명시적 인텐트(Explicit Intent) (1)
Kong돌이의 코딩이야기
Android Studio 인텐트의 기본구성요소 알아보기 (명시적,암시적 인텐트) 정리
우선 인텐트의 기본 구성요소는 '액션(Action)'과 '데이터(Data)'입니다. '액션(Action)'은 수행할 기능이고 '데이터(Data)'는 액션이 수행될 대상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댸표적인 액션으로는 ACTION_VIEW, ACTION_EDIT 등이 있습니다. 인텐트 객체를 만들 때에는 ACTION_VIEW와 함께 웹페이지 주소를 전달하면 단말 안에 설치되어 있던 웹브라우저의 화면이 뜨면서 해당 웹페이지를 보여줍니다. "명시적 인텐트(Explicit Intent)" 인텐트에 클래스 객체나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여 호출할 대상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경우 주로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사용한다. 명시적 인텐트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특정 컴포넌트나 액티비티가 명확하게 실행되어야 할 경우이다. "암시적 인..
코딩이야기/안드로이드
2021. 8. 26. 17:11